본문 바로가기
경제용어

자본주의란?

by moneymani0315 2023. 5. 25.
728x90

인류의 문명은 재산권의 확립으로 거슬러 올라갈 수 있습니다. 재산권을 통해 개인은 토지, 자본, 재화를 소유하고 이를 다른 사람에게 거래하거나 판매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러한 경제 활동을 "시장"이라고 합니다. 이는 반드시 물리적 시장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상품과 서비스가 자발적으로 거래된다는 의미입니다.


대부분의 인류 역사에서 재산권은 권력을 가진 자에게만 제한되어 왔습니다. 예를 들어, 왕이나 영주는 자신의 보호 아래 사는 사람들에 대한 궁극적인 통제권을 가졌습니다. 왕이 사탕수수를 원하면 농부들은 사탕수수를 재배해야 했습니다. 영주가 말굽이 필요하면 대장장이가 말굽을 만들었습니다. 평범한 사람들은 서로 거래할 수 있었지만, 권력을 가진 사람들은 원한다면 생산을 지시하거나 저항하는 사람들을 처벌할 수 있었습니다.

자본주의의 출현으로 상황이 바뀌었습니다.

자본주의는 최대한 많은 사람들의 필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상품을 대량 생산하는 것입니다.

자본주의는 배경과 사회적 지위에 관계없이 모든 사람에게 재산권을 인정함으로써 혁명을 일으켰습니다. 자본주의 에서는 사회에서 가장 취약한 계층도 자신의 노동과 재산에 대한 절대적인 권리를 가졌습니다. 재산의 평등을 보장하지는 않았지만 자본주의는 다른 사람이 이를 침해할 수 있는 어떠한 권리도 없앴습니다.

이를 통해 자본주의는 권력자가 아닌 소비자에게 경제에서 생산되는 것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했습니다. 이는 이윤 메커니즘을 통해 이루어집니다. 충분한 사람들이 재화를 수요하고 생산 비용보다 더 높은 가격에 판매할 수 있다면 그 재화의 생산이 수익성이 있다는 뜻입니다.


오늘날 세계에서 가장 부유한 사람들 중 일부는 부유층에 호소하는 것이 아니라 대중에게 호소함으로써 돈을 벌었습니다. 예를 들어, 월마트의 비즈니스 모델은 가능한 한 많은 사람들에게 상품을 저렴하게 판매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자본주의에 대한 비판자들은 이를 "탐욕"이라고 비난합니다. 이는 잘못된 생각입니다. 탐욕과 시기심은 인간의 악덕이며 어떤 경제 시스템에도 존재합니다. 자본주의는 사람들이 원하는 재화와 서비스를 시장에서 생산하도록 장려하는 것이지, 그러한 결정을 힘 있는 개인이나 정부에 맡기는 것이 아닙니다.

인류의 역사를 통틀어 우리는 재산권과 시장이 수십억 명의 사람들을 빈곤에서 벗어나게 하는 것을 보아왔습니다. 전 세계 어디에서나 재산권과 경제적 자유는 삶의 질, 건강, 기대 수명의 향상과 상관관계가 있습니다.

자본주의는 생산자와 소비자 간의 평화로운 협력 시스템이며, 대다수 사람들의 욕구와 필요에 의해 작동합니다. 진정한 자본주의 시스템에서 정부는 아무런 역할을 하지 않습니다. 정부가 간섭하고 생산자와 소비자에게 규제를 강요하면 자본주의 시스템은 더 이상 자본주의 시스템이 아닙니다.

질문

 

자본주의에 대한 비판자들은 자본주의를 단순히 "탐욕"이라고 비난합니다. 다른 사람들이 사고 싶어 하는 물건을 만들어서 이익을 얻는 것이 탐욕이라고 생각하세요?

어떤 사람들은 투표가 집단을 위한 결정을 내리는 가장 공정한 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자본주의는 소비자에게 힘을 실어주기 때문에 시장은 종오 게임과 같이 재미를 위한 제품을 만들어냅니다. 소비자들이 이런 것에 돈을 쓰도록 허용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하시나요, 아니면 모든 사람에게 가치가 있는 제품만이 공급되는 것이 더 낫다고 생각하시나요?


728x90

'경제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돈이란 무엇인가?  (0) 2023.05.27
비용 이란 무엇인가?  (1) 2023.05.26
트리클다운 이론 (낙수효과)  (3) 2023.05.23
펀드란 무엇인가? 장점과 단점  (0) 2023.05.22
소비자 물가 지수 (CPI) 란?  (0) 2023.05.21

댓글